중대재해처벌법 자율안전 컨설팅
- 산업현장 위험성평가
- 산업현장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작성
- 근골격계 유해요인조사 컨설팅
- 자율안전확인신고 컨설팅
- 중대재해처벌법 자율안전 컨설팅
- 도급승인 안전 및 보건평가
- 안전문화 컨설팅
-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컨설팅
- 행동기반안전(BBS) 컨설팅
남들보다 한 발자국 더 앞선 중대재해처벌법을 대비한 자율안전컨설팅으로 사업장의 중대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맞춤형 방안을 제공합니다.
중대재해처벌법 및 안전보건관계법령(산업안전보건법을 중심으로)을 기반으로 한 자율안전컨설팅을 통해, 사업장의 안전보건관리체계 및 효율적인 안전보건관리시스템 구축 방안과 현장의 안전관리 현황에 대한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협회의 특장점 및 차별화 된 서비스
-
1964년부터 쌓아온
전문기술 보유 -
안전보건관계법령에
따른 진단 및 검사 수행 -
고객 Needs를 반영한
맞춤진단 -
전국 지회망을 활용한
빠른 대응 -
법무법인과의
업무협약체결을 통한
법규 전문성 확보 -
각 분야별
전문가 투입
컨설팅 대상
- 01 중대재해처벌에 관한 법률에 대응하기 위한 사업장
- 02 중대재해처벌법 및 산업안전보건법을 적절하게 이행하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는 사업장
- 03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여 중대재해를 예방하고자 하는 사업장
- 04 자체적으로 안전관리 및 법이행실태를 점검하고자 하는 사업장
컨설팅 내용
-
안전보건관리체계
안전관리조직 구성 및 운영실태를 파악 및 분석하여, 적합한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방안 제시
-
안전관리시스템(PDCA)
안전관리시스템 구축현황 및 운영실태를 점검하여,
보다 효율적인 안전관리시스템 구축 및 운영방안 제시 -
안전한 작업환경
현장진단을 통한
잠재유해위험요인 발굴 및 개선방안 제시
컨설팅 절차
-
STEP 01 서류 평가
- 사업장 안전보건관리시스템 문서 점검
- 안전관리책임자 선임 등 문서관리 상태 파악
- 운영상태 및 이행여부
- 산안법/연안법 위반 여부
- 안전관리 문서
- 위험성평가, 작업 시작 전 점검, 비상조치계획 등에 대한 서류 점검 진행
- 사업장 안전보건관리시스템 문서 점검
-
STEP 02 현장 평가
- 안전관리현황 및 이행 상태 파악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시행규칙 이행여부
-
현장 안전 수준 파악
- 산업안전보건기준 규칙 준수여부
- 위험요인 및 법규 위반·지적 사항
- 기계, 전기, 화공 분야 심층분석
- 안전관리현황 및 이행 상태 파악
-
STEP 03 개선안 도출 및 보고서 작성
- 안전보건관리시스템 개선안 제시
- 문서관리 및 운영상태 개선안 제시
- 위험성평가, 작업 시작 전 점검 등 서류 보완사항 제시
- 현장 안전관리 현황에 따른 개선안 제시
- 산업안전보건법 및 하위법령에 따른 개선안
- 기계, 전기, 화공 분야 심층적 개선안
- 안전보건관리시스템 개선안 제시
-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
- 수집하는 개인정보 : 사업장명, 사업장 주소, 사업장 연락처, 성명, 휴대폰번호, 이메일주소
- 수집 및 이용 목적 : 문의 접수 및 처리
- 보유 및 이용 기간 : 정보주체의 파기 요청 시까지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다만, 거부 시 문의 접수가 제한되며 이에 따른 불이익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위와 같이 개인정보를 수집 및 이용하는데 동의하십니까? -
컨텐츠 담당자광역안전컨설팅팀 070-4276-1710 jinsnow815@safety.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