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산업안전진단

업종에 맞춘 분야별 전문가가 실시하는 종합안전진단

제조 및 서비스업 사업장을 대상으로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사업장의 잠재적인 유해위험요인을 발굴하고, 이에 대한 효과적인 개선대책을 제시합니다.

협회의 특장점 및 차별화 된 서비스

  • 민간기관 최초
    안전보건진단기관 지정(안전분야)
  • 40년간 쌓아온
    전문기술 보유
  • 전국 대상
    안전진단 실시
  • 분야별
    전문가
    투입

진단 목적 및 범위

정부의 안전사고 예방에 관한 의지와 안전사고에 대한 사업주의 안전 및 보건에 대한 의무 확대에 부응하고 조직의 안전보건관리체제 전반에 대한 점검을 통해 다양한 유형의 안전사고로부터 근로자의 안전 및 사업주 의무를 확보하기 위함.

점검 내용
  • 공통 점검사항
    • 산업안전보건법 제38조 안전조치
    • 기계·기구 그 밖의 설비에 대한 위험
    • 폭발성·발화성 및

      인화성 물질등에 대한 위험

    • 전기, 열, 그 밖에 에너지에 의 한 위험
  • 점검사항
    • 안전보건기술지침(GUIDE)
    • 안전관리 수칙·지침 관련
    • 기타 정책적 제도개선 필요사항
  • 관리분야
    • 안전보건관리체제
    • 도급사업에 있어서의 안전보건조치
    • 산업재해보고
    • 산업안전보건위원회
    • 위험기계·기구 및 설비 관리실태
    • 안전보건교육
    • 보호구 관리 상태
    • 안전인증 및 안전검사 실태
  • 현장분야
    • 안전분야
    • 작업조건 및 작업방법에 대한평가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하여 산업현장의 잠재위험요인을 색출 및 분석하여, 재해방지를 위한 개선방법지도 및 종합적인 개선대책 수립합니다

안전진단 대상

  • 안전한 환경 조성을 위해
    전문진단기관의 진단을 희망하는 사업장
  • 신규 설비 또는 특정분야에 대하여
    안전진단을 희망하는 사업장
  • 근로자의 안전 및 사업주 의무를
    확보를 희망하는 사업장

세부사업내용

  • 01 해외 법인에 대한 자율안전점검
  • 02 항구적이고 종합적인 개선대책 수립
  • 03 산업현장의 잠재위험요인 색출 및 분석평가
  • 04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진단
  • 05재해방지를 위한 개선방법지도

산업안전진단 범위

  • 안전보건관리분야
    • 안전보건관리 체제 및 그 직무수행의 적정성
    • 안전보건관리규정 및 작업지시서 등 검토
    •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구성 및 활동 상황 검토
    • 현장 작업자의 작업상태 등 현장 점검 및 분석
    • 작업별 관리감독자 구성 및 활동 상황 검토
    • 안전보건방침의 수립 여부 및 적정성 검토
    • 안전보건교육 실시 및 적정성
    • 위험성평가(Risk Assessment)의 실시 여부 검토
    • 보호구, 안전보건장비 등의 착용 및 적정성
    • 기타 안전관리에 필요한 사항
    • 재해발생현황 및 재발방지대책 분석
    • 기타 SYSTEM적 안전관리 활동 노력 사항
  • 기계안전분야
    • 기계기구의 설비 안전조치 이상유무 및 상태 점검
    • 작업자 자세 및 불안전한 행동 등 휴먼에러요인 점검
    • 유해위험기계기구의 방호장치 기능상태 점검
    • 강재 건축물 및 파이프라인, 탱크 등 비파괴 검사(필요시)
    • 유해위험기계기구 안전검사 실시 현황 및 적정성 검토
    • 기타 기계설비 안전조치 상태 점검
    • 하역운반기계 등의 관리실태 및 운영상태 점검
  • 전기안전분야
    • 전기설비 설치상태의 적정성 점검
    • 주요배선의 접속 및 결선상태 점검
    • 분전반 내부 스위치류, 접촉기 등의 이상유무 점검
    • 전기설비(변압기 및 차단기 등) 열화상 측정 및 분석(필요시)
    • 전기설비 용량, 과부하, 과열상태 등 점검
    • 기타 전기설비의 적정성 및 안전조치 이행여부 점검
    • 전기배선 및 배관의 설치상태 적정성 점검
  • 화공안전분야
    • 화공약품 보관 관리상태 및 설비 배관 등 누설, 균열, 누수 점검
    • PSM 대상 및 유해위험방지계획서 대상 점검
    • 화학물질 위험성 관련 문제점 및 보완사항 점검
    • 화학물질 취급관리에 따른 보호구 착용 등
    • 인화성, 가연성 가스물질 관리상태 점검
    • 기타 화학물질 및 가스 사용설비 안전조치 상태 점검
    • 화학물질 MSDS 작성 비치 및 관리상태 점검

업무 수행 절차

 
  • STEP 01Kick-off
      • 업무일정 협의
      • 현장순회
      • 서류준비
  • STEP 02서류검토
      • 안전관리규정
      • 안전관리체제
  • STEP 03현장진단
      • 분야별 진단사항 확인
      • 진단장비 활용(필요시)
      • 위험요소 도출
  • STEP 04보고서 작성·제출
      • 문제점 정리
      • 대책 제시
  • STEP 05완료
      • 강평
      • 보고서 제출
      • 계획서 작성

산업안전진단 기대효과

산업재해예방 및 안전관리
안전교육관리, 근로자안전의식향상,작업환경개선
  • 안전관리체제 확인
    • 사업장에 맞는 안전관리 체제 구축
    • 외부공사업무에 대한 관리감독 체제 구축
    • 각 지사의 안전관리 현황 보고 체제 구축
  • 교육부분확인
    • 채용시 및 작업내용 변경시 교육
    • 관리감독자 교육
    • 정기안전보건교육
    • 특별안전보건교육 사항
  • 사고위험분석
    • 기계설비의 위험점
    • 전기, 열, 화학물질의 위험
    • 불안정한 작업방법
  • 작업자의 안전행동
    • 작업방법 분석
    • 작업자 안전의식분석
    • 작업도구의 점검
    • 표준안전작업 제시
50년 이상 축적된 산업안전분야의 진단 노하우 및 DB를 바탕으로 한 자율안전점검 제공
  • 국내 최고의 안전진단기관으로 다양한 업종에 대한 안전진단 인프라와 경험을 보유
  • 사업장 공정 및 작업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정밀한 진단이 가능
  • 각 분야에 대한 전문성 및 Know-how를 바탕으로 건설적인 피드백이 가능
  1. 1
    산업안전보건법에 적합한
    관리 분야 개선
  2. 2
    자체 안전관리기법의
    수준향상 및 지식 습득
  3. 3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기술 습득
  4. 4
    타 사업장의 모범사례를
    적용한 안전관리
    시스템구축
  5. 5
    향후 관계기관 점검에
    따른 대처방안 습득

KISA 산업안전 진단현황

  • 구분 인력기준 이름 경력
    1 기계ㆍ화공ㆍ전기 분야의산업안전지도사 또는 안전기술사 1명이상 정재용 14년
    김민석 22년
    권영준 15년
    배성환 9년
    강중근 4년
    김기형 9년
    2 산업안전기사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 2명 이상 박대은 16년
    이기훈 19년
    김지선 5년
    원교연 3년
    최하늘 1년
    이건 1년
    최예형 1년
    천지향 1년 미만
    최영기 1년
    전대영 1년 미만
    최용진 6년
    윤예진 1년 미만
    3 기계기사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 1명 이상 현동환 1년 미만
    4 전기기사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 1명 이상 박대원 20년
    심창호 14년
    박상복 19년
    임종기 15년
    오영석 1년
    박주현 1년 미만
    전주익 1년 미만
    권상두 1년
    5 화공기사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 1명 이상 오승덕 14년
    강준우 1년 미만
    김길환 1년
    오정현 1년
    • 진단 팀원 구성은 업무 용역 및 사업장 규모에 따라 기본 2~3인 1조(일반, 기계, 전기, 화공 분야 등)로 편성되고 그중 선임자를 프로젝트 매니저(PM)로 지정하여 업무를 수행하며, 필요에 따라 외부 전문 인력이 추가될 수 있음
  • 구분, 장비명, 보유대수, 모델명로 구성된 장비현황 안내
    구분 장비명 보유대수 모델명
    1 회전속도측정기 1 C.A 1725
    2 자분탐상비파괴시험기 1 MP 8089
    3 재료강도시험기 1 ZH-DB-10KN
    4 진동측정기 1 vPodⅡ
    5 표준압력계 1 W-100
    6 절연저항측정기 1 CA 6523
    7 만능회로측정기 1 SUMMIT SDM 383
    8 산업용내시경 1 TESLONG
    9 경도측정기 1 MH-100
    10 산소농도측정기 1 XO-326IISA
    11 두께측정기 1 EHC-09
    12 가스농도측정기 1 SP-MGT-P
    13 가연성가스검지관 1 GV-100
    14 수압시험기 1 SL-HP-120
    15 접지저항측정기 1 C.A 6417
    16 계전기기시험기 1 ST-6008
    17 정전기전하량측정기 1 NK-1001A
    18 정전기전위측정기 1 FMX-004
    19 차압측정기 1 TESTO 510
  • 구분, 제조업, 서비스업, 기타, 계로 구성된 업종별 진단 실적 안내
    구분 제조업 서비스업 기타
    2020년 법적진단 13 0 3 16
    자율진단 9 0 4 13
    2021년 법적진단 17 0 2 19
    자율진단 18 2 3 23
    2022년 법적진단 34 2 1 37
    자율진단 69 1 5 75
  • 규모별 진단단가 및 진단인력 투입일 수

    안전보건진단사업 시행지침 [붙임3] 및 엔지니어링산업 진흥법 제31조제2항의 규정에 따라 위험도 및 사업장 규모(근로자수)에 따른진단일수와 기술자등급별 최소 진단참여일수를 고려하여 사업장 특성에 적합한 견적금액 산출
    • 안전보건진단사업 시행지침 [붙임3] 참고
    • 엔지니어링산업 진흥법 제31조제2항
    • 제경비 : 직접인건비의 110~120% 적용
    • 기술료 : [직접인건비+제경비]의 20~40% 적용

    종합진단 최소 진단일수

    근로자 수, 고위험, 중위험, 저위험으로 구성된 종합진단 최소진단일수 및 위험도에 따른 사업종류 안내
    근로자 수 고위험 중위험 저위험
    5인 미만 6 5 4
    5인 이상
    50인 미만
    MD =
    7 + (근로자수-5)/45x18
    MD =
    6 + (근로자수-5)/45x14
    MD =
    5 + (근로자수-5)/45x10
    50인 이상
    300인 미만
    MD =
    25 + (근로자수-50)/250x38
    MD =
    20 + (근로자수-50)/250x29
    MD =
    15 + (근로자수-50)/250x22
    300인 이상 MD =
    50 + (근로자수-50)/20
    MD =
    40 + (근로자수-40)/30
    MD =
    30 + (근로자수-30)/40

    ※ 소수점 이하는 절상 (예: 201.2 이면 202 MD)

    ※ 최소 진단일수는 보고서 작성일수를 포함하고 근로자수에 상주 협력업체 근로자 포함함

    ※ 명령진단은 최소 진단일수를 준수(종합 100%, 안전·보건분야 50%)하여야 하며, 진단범위는 사업장 전체 또는 일부로 할 수 있음

    위험도에 따른 사업종류

    - 산재보험료율과 사고사망만인율 중 높은 위험도 적용

    위험도, 사업종류로 구성된 위험도에 따른 사업종류 안내
    위험도 산재보험료율¹ 기준 사고사망만인율² 기준
    고위험 산재보험율 30이상 업종 사고사망만인율 2배수 이상 업종
    중위험 산재보험료율 15이상 30미만 업종 사고사망만인율 1배수 이상 2배수 미만 업종
    저위험 산재보험료율 15미만 업종 및 고용부 고시 「사업종류별 산재보험료율」에서 정의하고 있지 않는 업종 사고사망만인율 1배수 미만 업종

    ¹ 매년 말 공표되는 고용노동부고시 「사업종류별 산재보험료율」의 산재보험료율을 적용한다.
      다만, 당해연도 고시가 공표되기 전까지는 직전년도 고용노동부고시를 적용한다.

    ² 사고사망만인율은 중업종 기준이며, 신청일 기준 고용노동부에서 공표한 가장 최근 년도의 산업재해통계를 기준으로 적용한다.

  • 기술자등급별 최소 진단참여일 수

    진단일 수 , 10일 이상, 20일 이상, 30일 이상, 50일 이상, 100일 이상, 300일 이상으로 구성된 기술자등급별 최소 진단참여일 수 안내
    진단일
    10일
    이상
    20일
    이상
    30일
    이상
    50일
    이상
    100일
    이상
    300일
    이상
    기술자
    등급별
    참여일 수
    특급
    기술자
    5일 이상
    특급
    기술자
    10일 이상
    특급
    기술자
    15일 이상
    기술사
    15일 이상
    기술사
    30일 이상
    기술사
    100일 이상
    • 진단일수에 따라 해당 기술자등급 이상의 진단전문가가 참여하여 진단수준을 제고함.
    • 2023년 기관평가 C등급 판정




      • Q.

        산업안전진단 비용은 어떻게 되나요?

        A.

        산업안전진단 비용은 사업장 규모(건평), 상시근로자, 업종 및 점검투입인력을 고려하여 산정되며 정확한 비용은 상담을 통해 결정됩니다.

        ※ 안전진단본부 안전진단국 문의하기(사업문의하기로 연결)

        1. 안전진단 1국(서울, 경기, 강원권 사업장 담당)

        2. 안전진단 3국(충청, 전라권 사업장 담당)

        3. 안전진단 4국(경상권 사업장 담당)

      • Q.

        산업안전진단 기간은 어떻게 되나요?

        A.

        산업안전진단 기간은 사업장규모로 결정되며 건평 2000~3000평을 기준으로 현장진단 1일 소요됩니다. (건평 10,000평일 경우 현장진단 5일 소요)

      • Q.

        산업안전진단은 무엇을 진단하나요?

        A.

        산업안전보건법 제47조(안전보건진단) 동법 시행령[별표 14] 안전보건진단의 종류 및 내용에 근거하여 산업안전진단을 실시합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진단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산업재해 또는 사고의 발생 원인(산업재해 또는 사고가 발생한 경우만 해당한다)

        2. 작업조건 및 작업방법에 대한 평가

        3. 유해ㆍ위험요인에 대한 측정 및 분석

        가. 기계ㆍ기구 또는 그 밖의 설비에 의한 위험성

        나. 폭발성ㆍ물반응성ㆍ자기반응성ㆍ자기발열성 물질, 자연발화성 액체ㆍ고체 및 인화성 액체 등에 의한 위험성

        다. 전기ㆍ열 또는 그 밖의 에너지에 의한 위험성

        라. 추락, 붕괴, 낙하, 비래(飛來) 등으로 인한 위험성

        마. 그 밖에 기계ㆍ기구ㆍ설비ㆍ장치ㆍ구축물ㆍ시설물ㆍ원재료 및 공정 등에 의한 위험성

        4. 보호구, 안전ㆍ보건장비 및 작업환경 개선시설의 적정성(안전관련 사항)

      • Q.

        산업안전진단은 몇 명이 진행하나요?

        A.

        진단 인원은 기본적으로 현장분야 진단인력 3명(기계, 전기, 화공분야 각 1명)으로 구성되며, 상황에 따라 관리분야(서류점검)을 확인하는 인원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 Q.

        산업안전진단은 결과는 어떤 방법으로 주시나요?

        A.

        산업안전진단 결과는 보고서 행태의 책자로 보내드리며, 보고서 책자가 만들어지기까지는 점검이 끝나고 3~4주 정도 소요됩니다.

      휴대폰(휴대폰, 공동인증서) 또는 공공 I-PIN인증 중 하나를 통하여 실명인증을 하셔야 문의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 응답수신처 * 필수입력
        • 이메일
          • @
        • HP
          • -
          • -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
      • 수집하는 개인정보 : 사업장명, 사업장 주소, 사업장 연락처, 성명, 휴대폰번호, 이메일주소
      • 수집 및 이용 목적 : 문의 접수 및 처리
      • 보유 및 이용 기간 : 정보주체의 파기 요청 시까지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다만, 거부 시 문의 접수가 제한되며 이에 따른 불이익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위와 같이 개인정보를 수집 및 이용하는데 동의하십니까?
    • 컨텐츠 담당자
      진단지원국 070-4276-1220